
시작하며...대부분의 ORM이 기본세팅으로 Entity간 연관관계가 설정될 경우 DDL 생성시 알아서 외래키 제약조건을 추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. 다만 자동 DDL 생성 옵션을 끄고 내가 직접 DDL을 작성할때는 잘 안썼다. 이렇게 외래키 제약조건이 무엇인지만 알고 있던 상황에서 우연히 외래키 제약조건을 사용 할지 말지 고민을 하고있는 글을 보게 되었고, 이 부분에 대해서 정확한 장단점을 알고 넘어가면 추후 명확한 근거와 함께 행동할 수 있을 듯 하여 글을 작성하기 시작했다. 외래키 제약조건을 사용하면 어떤 점들이 좋은지, 오버헤드는 얼마나 발생하는지, 만약 사용하지 않는다면 어떤 부분들을 신경 써 주어야 할지 알아보고자 한다.외래키 제약조건외래키 제약조건이란?MySQL의 외래 키 제약조건은 데이터베..